양심, 유심은 없고

여심만 남았다는...

대고객 발표문을 통해 사과문을 발표하고

 

유심보호서비스를 가입하면, 피해 발생시 skt가 100% 책임지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5천만원 피해발생 뉴스가 발생하고 대기자가 폭증했습니다.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5/04/28/5QZFIAJWM5DIRNX6UWSYHCQJLI/

 

“SKT 먹통 후 알뜰폰 개통돼 5000만원 빠져나가”… 경찰 수사

SKT 먹통 후 알뜰폰 개통돼 5000만원 빠져나가 경찰 수사

biz.chosun.com

“SKT 먹통 후 알뜰폰 개통돼 5000만원 빠져나가”… 경찰 수사

 

오늘 (4월 28일) 정오쯤에는 대기자 2만명 접속대기 15분 정도 였는데
뉴스가 퍼지고 유심보호서비스 신청자가 폭증하면서 현재(4월 28일 15시 47분)기준
대기자 605872명(약 60만명)
대기시간 168시간 17분 52초(168시간 = 일주일)

 

 

일주일이면 해킹으로 인한 피해가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텐데, SKT가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 지켜봐야겠네요.

 

유심교체는 물리적으로 단시간안에 끝낼수 없고, 진퇴양난의 SKT입니다.

 

P.S> 5시 현재 10만명 4시간 대기 - 접속서버를 늘린거 같네요.

       그런데 접속해서 인증문자 발송하면 인증문자가 3분안에 도착을 안한다고 합니다.

 

무한도전 재미있었는데

이제 보지 못할 모습이네요

'잡담 >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길찾기.gif  (0) 2025.03.14
펌글] NC소프트에서 메일이 도착했다  (0) 2025.02.22
구글 홈 vs 카카오미니 vs 네이버 클로바 ai문제풀이 대결  (1) 2024.12.22
COVID19 뜻  (0) 2020.12.20
한국인의 안전의식  (0) 2020.06.10

복주머니를 선물 받았어요 
얼마가 들어 있을까요?
https://m.kbanknow.com/banking/k/WvfSZvO

 

세뱃돈이 든 복주머니를 받았어요

최대 50,000원을 받아요

m.kbanknow.com

 

복주머니 열면 최대 5만원 나와요~

 

댓글에 공유해주시면 더 좋아요~

'잡담 > 유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글] NC소프트에서 메일이 도착했다  (0) 2025.02.22
펌글] 별종 위기종 - 교수 암살미수사건  (0) 2025.02.21
COVID19 뜻  (0) 2020.12.20
한국인의 안전의식  (0) 2020.06.10
일요일에 등교하는 고3들  (0) 2020.05.25

나이를 먹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미국 대중문화계의 스타이자
코미디의 전설이라 불리는 조지 번스.
1996년 그의 나이 100세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는 부인 앨런과 함께 라디오와 텔레비전
그리고 영화 등 다양한 매체와 방식으로
오랫동안 수많은 사람에게 웃음을
선사했습니다.

65세가 되었을 때 아직도 여드름이 있다며
나이 듦을 유쾌하게 맞섰고, 80세 고령에도 불구하고
영화 ‘The sunshine boys’를 통해
아카데미 남우조연상까지 받으며
그에겐 나이는 방해물이 되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그는 남을 즐겁게 하는 일을
천직으로 삼았고 그것이 행복의 비결이었고
인생의 보람이었습니다.

그런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
주위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수의 비결이다.”

 

 

100세 시대를 앞둔 현대사회에서
오래 사는 것보다 잘 늙는 게 중요해졌습니다.
때문에 ‘잘 늙자’라는 의미의
‘웰 에이징’이라는 신조어도 나타났습니다.

나이 듦을 핑계 삼는 우리 자신들의
게으름과 나약함을 벗어 버리고
이왕이면 멋지게, 당당하게 하고 싶은 일을 찾는 것이
장수의 첫걸음입니다.

 

# 오늘의 명언
당신은 나이만큼 늙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생각만큼 늙는 것이다.
– 조지 번스 –

따뜻한 하루 - 따뜻한 편지 1863호(양 떼가 강을 건너는 방법)

 

1996년 신예순 할머니는 74세의 나이로
해발 5,800m의 아프리카 킬리만자로의 정상을 등정해
큰 이목을 끌었습니다.

남편과 사별한 뒤 몸도 마음도 허약해질 때
마음을 달래기 위해서 등산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비록 다리도 불편하고, 관절도 좋지 않았으나
꾸준히 산을 오르면서 할머니의 몸과 마음은
회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등산을 통해서 인생의 이치도
알게 되었다며, 산이 곧 ‘만병통치약’이라고
말했습니다.

할머니는 1992년 등정에 도전했다가 실패한
킬리만자로를 다시 마주했을 때
두려움도 있었지만, 함께 오르는 사람들의
응원과 성원에 힘입어 극복할 자신감이
생겼다고 합니다.

등정에 성공한 뒤 신예순 할머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회만 닿는다면 더 높은 산이라도
오를 수 있습니다.”

 

 

오르락내리락하는 산의 모습이
고난과 기쁨이 공존하는 인생을 닮았습니다.
그 때문에 인생은 끊임없는 도전의
과정이라고도 합니다.

숨이 턱까지 차올라 포기하고 싶지만
그 구간을 극복하면 정상에 오르는 기쁨을
만끽할 수 있는 산처럼 인생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제 늙어서 뭘 할 수 있다고….
그냥 이대로 살다가 죽으면 그만이지…

이런 나약한 생각보다는
내게 주어진 시간을 알 수는 없지만
사는 날까지는, 건강할 때까지는, 무언가를 해보며
살아가는 마음이 중요합니다.

 

# 오늘의 명언
도전에 성공하는 비결은 단 하나,
결단코 포기하지 않는 일이다.
– 디어도어 로빈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