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 2주년을 맞이하여 '게임하기로 닭치고 몸보신 맘보신' 이벤트가 진행중이다.


기간은 7.28(월)~ 8.4(월) 8일간이다.


먼저, 닭치고 이모티콘을 무료로 주고 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그에 맞는 다양한 이모티콘으로 구성되어 있다.



참여방법은 카카오톡 마지막 창에서 게임하기에 접속을 하면 된다. 이벤트 기간중 언제든지 단 1번만 참여를 하면 카카오톡메세지로 무료 이모티콘이 발송된다.



두번째로 '피자로 몸보신! 프렌즈로 맘보신!' 이벤트


이벤트 기간동안 매일 오후12시~1시게임하기에서 게임을 실행한 사람들 중 추첨을 통해



위와 같이 미스터피자와, 카카오 프렌즈 Muzi인형(대형)을 준다.

카카오톡 PC 버전에서도 보이스톡을 쓸 수 있게 됐다. 7월 24일 보이스톡 기능을 추가하고 디자인을 개편한 2.0버전을 공개했다.

보이스톡을 비롯한 2.0버전의 기능은 윈도우 O.S에서만 가능하며, 맥에서는 아직 불가능하다.


보이스톡을 처음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스피커와 마이크설정 창이 나타난다.



설정을 다 마치고 나면 연결이 되며, 다음부터는 설정없이 바로 보이스톡 연결이 된다.



카카오톡 측 자료를 보면 SKT는 대화가 거의 불가능한 보이스톡 환경을 나타내고 있으며, LGU+가 가장 좋은 음질을 보장한다.


이번 2.0버전에서는 보이스톡과 함께 채팅방 꾸미기 기능도 함께 적용됐다. 스타일 설정을 비롯하며 폰트와 투명도도 조절할 수 있다.

‘문화가 있는 날‘이란?

- 영화관을 비롯한 공연장, 미술관, 박물관 등 전국에 있는 다양한 문화시설의 문턱을 낮추어 보다 쉽게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융성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14년1월부터 시행한 제도이다.
‘문화가 있는 날’로 지정된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는 전국의 주요 문화시설을 할인 또는 무료로 즐길 수 있다.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는 다함께 문화랑 놀자!


주요혜택

[영화관람](영화관람) 오늘은 네가 밥을 사라. 영화표는 내가 산다! 

둘이서 영화를 볼 때면 우리는 밥을 사거나 영화표를 사거나, 둘 중 하나가 된다. 문화가 있는 날에는 영화표를 사는 쪽을 추천한다.
만원으로 2명이 영화를 보는 마법이 펼쳐질 테니!
-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직영관 등 전국주요 영화관 할인: 저녁 6-8시 8000원 → 5000원
※ 지역별로 일부 영화상영관은 제외될 수 있으니 참여 문화시설 안내 또는 해당기관에 확인 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스포츠관람](스포츠관람) 아들아, 오늘은 아빠가 쏜다! 

가업처럼 대를 이어 전해지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응원하는 팀이다. 자, 당신의 응원팀을 자녀에게 전해줄 기회가 왔다. 함께 가자! 경기장으로!
- 초등학생이나 더 어린자녀와 부모가 함께 입장하는 경우 프로농구, 프로배구, 프로축구, 프로야구 관람료 50%할인


[공연관람](공연관람) 봄따라 라따 라따, 공연보러 가보자♬ 

봄바람 살랑살랑 불면 분위기 있는 공연장에서 다양한 공연을 즐겨보자. 내로라하는 주요 공연장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니.
좋아, 오늘 밤은 이걸로 정했다!
- 국립극장, 예술의 전당, 세종문화회관 등 주요공연장 공연할인


(전시관람)(전시관람)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그것을 찾아 가볼 텐가?! 

인간의 아름다움은 어디에서 오는가. 그런다면 미(美)란 무엇인가. 모든 정답은 그 곳에 두고왔으니... 후후... 한번 찾으러 가볼 텐가?
- 국립현대미술관 등 박물관, 미술관 할인 및 무료


(문화재관람)(문화재관람) 궁에서 온 그대 

가끔 그런 생각을 하곤 한다. ‘아... 왕처럼 살고 싶다...’ 그럴 땐 고궁에 들러 왕의 기분을 내보자! 왕에게 누가 입장료를 받겠는가!
이리 오너라! 주상전하가 납신다!
- 경복궁, 창덕궁, 등 4대궁과 종묘, 조선왕릉 무료


(기타문화공간)(기타문화공간) 당신이 있는 곳에 문화가 있다! 

집, 학교, 회사, 당신이 있는 그곳에서 나만의 문화가 있는 날을 만들어 보자.
거리공연, 프리마켓, 문화 회식, 재능 기부, 작은 운동회...!

문화가 있는 날, 24시간이 모자라~♬


영화 - 18:00~20:00 상영시작되는 영화관람료 5천원, 3D상영관을 비롯한 특수관은 제외

CGV 전 지점(CINE de CHEF 제외) 

롯데시네마,메가박스 등 몇몇 지점 제외 예매시 확인


그 외http://www.culture.go.kr/wday/wDayList.do

위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통해 확인해보세요.

무료관람, 50%할인 등 시설에 따라 다양한 혜택이 존재합니다.

야구의 경우 초등학생이하 자녀와 함께 관람하는 경우 일반석만 50%할인 혜택이 있네요.

아래의 내용은 '주체 여행사'의 안내내용 중 일부이다.


Independent, spontaneous travel around the country is not allowed. All tours follow a set itinerary that has been prepared and planned in advance by KITC.

1) Group Tours          2) Private Tours       3) Pyongyang Marathon Tours

4) Aviation Tours        5) Railway Tours     6) Bargain Tours


Contrary to what you may have heard, pretty much anyone can visit the DPRK as a tourist. At the present time, only the following categories of people are NOT permitted:

South Korean nationals;

Foreign nationals who are living in South Korea;

Professional journalists, photographers, broadcasters and the like (feel free to contact us for clarification on this);

N.B. American tourists ARE permitted to visit the DPRK however they can only enter or exit the country by plane (not train).


----------------------------------------------------------------------------------------------------------------------


위 안내 글에 따르면, 북한관광은 남한에서 거주 중인 사람들은 불가능하며, 개인과 단체 모두 정해진 일정을 벗어나서 개인적인 관광은 불가능하다.


위에 소개된 상품 외에도 일정에 따라, 제14회 평양 국제 영화제(14th Pyongyang International Film Festival), Masik Pass Ski가 포함된 여행코스 등 다양한 상품이 있다.

아말감(amalgam)은 수은, 은, 동, 아연 등을 이용한 합금으로, 치과 치료에서 널리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이다. 1818년 처음 치과 치료에 도입된 이래로 현재까지 꾸준하게 치과 충전재로 사용되고 있다.

해독, 몸의 복수 1편
 

해독, 몸의 복수 2편
 

해독, 몸의 복수 3



매년 개최되는 태풍위원회 총회에서는 그 해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의 경우 앞으로 유사한 태풍 피해가 없도록 해당 태풍 이름의 퇴출을 결정하며, 피해를 주지 않은 태풍일지라도 다른 사유로 더 이상 현재 태풍 이름을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새로운 태풍 이름으로 대체된다. 태풍이름의 변경은 퇴출된 태풍 이름을 제출한 국가에서 결정한다. 우리나라에서 제출한 태풍 ‘나비’의 경우 2005년에 일본을 강타하면서 엄청난 재해를 일으켜, ‘독수리’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었다.



퇴출된 이름

대체된 이름

퇴출년도

와메이(VAMEI)

페이파(PEIPAH)

2001년

차타안(CHATAAN)

마트모(MATMO)

2002년

루사(RUSA)

누리(NURI)

2002년

봉선화(PONGSONA)

노을(NOUL)

2002년

하누만(HANUMAN)

모라꼿(MORAKOT)

2002년

코도(KODO)

에어리(AERE)

2002년

임부도(IMBUDO)

몰라베(MOLAVE)

2003년

매미(MAEMI)

무지개(MUJIGAE)

2003년

수달(SUDAL)

미리내(MIRINAE)

2004년

라나님(RANANIM)

파나피(FANAPI)

2004년

야냔(YANYAN)

돌핀(DOLPHIN)

2004년

팅팅(TINGTING)

라이언록(LIONROCK)

2004년

맛사(MATSA)

파카르(PAKHAR)

2005년

나비(NABI)

독수리(DOKSURI)

2005년

룽왕(LONGWANG)

하이쿠이(HAIKUI)

2005년

짠쯔(CHANCHU)

산바(SANBA)

2006년

빌리스(BILIS)

말릭시(MALIKSI)

2006년

사오마이(SAOMAI)

손띤(SON-TINH)

2006년

상산(XANGSANE)

리피(LEEPI)

2006년

두리안(DURIAN)

망쿳(MANGKHUT)

2006년

모라꼿(MORAKOT)

앗사니(ATSANI)

2009년

켓사나(KETSANA)

참피(CHAMPI)

2009년

파마(PARMA)

인파(IN-FA)

2009년

파나피(FANAPI)

라이(RAI)

2010년

와시(WASHI)

하토(HATO)

2011년

보파(BOPHA)

암필(AMPIL)

2012년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으므로 동시에 같은 지역에 하나 이상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표되는 태풍 예보를
혼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태풍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었다. 그 당시 호주 예보관들은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이 앤더슨이라면 “현재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또는 “앤더슨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태풍 예보를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다가 이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괌에 위치한 미국 태풍합동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는
태풍위원회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태풍 경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태풍 이름을 서양식에서 태풍위원회 회원국의 고유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하기로 정했다. 태풍이 보통 연간 약 30여 개쯤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개미', ‘나리', ‘장미', ‘미리내', ‘노루',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독수리' 등의 태풍 이름을 제출했고, 북한에서도 ‘기러기' 등 10개의 이름을 제출했으므로 한글 이름의 태풍이 많아졌다.


2014년 개정된 태풍이름                                                                                                                         2014. 4. 16. 현재

 국가명

 1조

 2조

 3조

 4조

 5조

 캄보디아

담레이 

 콩레이

 나크리

크로반 

 사리카

 중 국

 하이쿠이

 위투

 펑선

 두쥐안

 하이마

 북 한

 기러기

 도라지

 갈매기

 무지개

 메아리

 홍 콩

 카이탁

 마니

 풍웡

 초이완

 망온

 일 본

 덴빈

 우사기

 간무리

 곳푸

 도카게

 라오스

 볼라벤

 파북

 판폰

 참피

 녹텐

 마카오

 산바

 우딥

 봉퐁

 인파

 무이파

 말레이시아

 즐라왓

 스팟

 누리

 멜로르

 므르복

 미크로네시아

 에위니아

 피토

 실라코

 네파탁

 난마돌

 필리핀

 말릭시

 다나스

 하구핏

 루핏

 탈라스

 한 국

 개미

 나리

 장미

 미리내

 노루

 태 국

 쁘라삐룬

 위파

 메칼라

 니다

 꿀랍

 미 국

 마리아

 프란시스코

 히고스

 오마이스

 로키

 베트남

 손띤

 레끼마

 바비

 꼰선

 선까

 캄보디아

 암필

 크로사

 마이삭

찬투 

네삿 

 중 국

 우쿵

하이옌 

하이선 

뎬무 

하이탕 

 북 한

 소나무

버들 

노을 

민들레 

날개 

 홍 콩

 산산

링링 

돌핀 

라이언록 

바냔 

 일 본

 야기

가지키 

구지라 

곤파스 

하토 

 라오스

 리피

파사이 

찬홈 

남테운 

파카르 

  마카오

 버빙카

페이파 

린파 

말로 

상우 

 말레이시아

 룸비아

타파 

낭카 

므란티 

마와르 

 미크로네시아

 솔릭

미탁 

사우델로르 

라이 

구촐 

 필리핀

 시마론

하기비스 

몰라베 

말라카스 

탈림 

 한 국

 제비

 너구리

고니 

메기 

독수리 

 태 국

 망쿳

람마순 

앗사니 

차바 

카눈 

 미 국

 우토르

마트모 

아타우 

에어리 

비센티 

 베트남

 짜미

할롱 

밤꼬 

송다 

사올라 


+ Recent posts